2025년 기준 중위소득이 발표되었습니다!
기초생활수급자, 생계급여 및 의료급여 대상자를 결정하는 중요한 기준이 되는 만큼, 이번 변경 사항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내가 지원 대상인지, 얼마를 받을 수 있는지 지금 바로 확인해 보세요!
2025년 기준 중위소득이란?
기준 중위소득은 대한민국 모든 가구를 소득 순으로 나열했을 때 중간에 해당하는 가구의 소득을 의미합니다.
정부의 각종 복지급여(생계·의료·주거·교육급여) 선정 기준으로 활용되며, 특히 기초생활수급자 지원 대상 여부를 결정하는 핵심 지표입니다.
🔎 중위소득이 중요한 이유?
- 기초생활보장제도(생계·의료·주거·교육급여) 지원 기준
- 양육수당, 아동수당, 청년월세 지원 등 다양한 복지 서비스 적용
- 소득 기준에 따라 각종 감면 혜택 결정
즉, 기준 중위소득이 오르면 더 많은 사람들이 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2025년 기준 중위소득 (가구원 수별 정리)
2025년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은 다음과 같습니다.

* 8인 이상 가구의 기준 중위소득: 1인 증가시마다 923,623원씩 증가(8인가구: 9,912,051원)
✅ 전년 대비 인상!
2024년 대비 약 3~5% 증가한 것으로, 물가 상승을 반영하여 기준이 조정되었습니다.
이로 인해 기초생활수급자 선정 기준도 다소 완화될 것으로 보입니다.
2025년 생계급여 선정기준 및 최저보장 수준
가구원 수별 생계급여 선정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.
(단위: 원)
가구원 수 | 1인 가구 | 2인 가구 | 3인 가구 | 4인 가구 | 5인 가구 | 6인 가구 | 7인 가구 |
월 소득 | 765,444 | 1,258,451 | 1,608,113 | 1,951,287 | 2,274,621 | 2,580,738 | 2,876,297 |
- * 8인 이상 가구의 선정기준 : 1인 증가시마다 295,559원씩 증가합니다. (8인가구: 3,171,856원)
- 생계급여는 기준 중위소득의 30% 이하일 경우 지급됩니다.
✅ 생계급여 수급자는 기본적인 생활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부족한 금액을 지원받습니다.
💡 예시:
- 만약 2인가구의 소득이 1,000,000원(100만 원)이라면?
- 생계급여 = 1,258,451원 - 1,000,000원 = 258,451원 지급
2025년 의료급여 선정기준
의료급여는 기준 중위소득의 40% 이하일 경우 지원됩니다.
즉, 생계급여 대상보다 조금 더 완화된 기준입니다.
(단위: 원)
가구원 수 | 1인 가구 | 2인 가구 | 3인 가구 | 4인 가구 | 5인 가구 | 6인 가구 | 7인 가구 |
월 소득 | 956,805 | 1,573,063 | 2,010,141 | 2,439,109 | 2,843,277 | 3,225,922 | 3,595,371 |
※ 8인가구 이상의 선정 기준은 1인 추가 시 +369,449원씩 증가합니다.
✅ 의료급여 대상자는 진료비를 정부가 지원하며, 본인 부담금이 낮아집니다.
✅ 입원, 외래진료, 약제비까지 지원 가능 (병원급별 본인 부담 상이함)
기초생활수급자 신청 방법 (생계·의료급여 포함)
✅ 신청 대상:
- 기준 중위소득 대비 생계급여(30%), 의료급여(40%) 기준 이하
- 재산·부양의무자 기준 충족 (2023년부터 일부 폐지됨)
✅ 신청 방법:
- 복지로 홈페이지 접속 후 온라인 신청
- 거주지 관할 주민센터(행정복지센터) 방문 접수
- 신청 후 소득·재산 조사 진행 → 지급 여부 결정
신청하러 가기
✅ 필요 서류:
- 주민등록등본
- 소득·재산 증빙서류 (급여 명세서, 금융재산 등)
- 임대차계약서 (임차가구일 경우)
📌 신청 후 심사 기간은 약 30일 소요되며, 결과는 문자 또는 우편으로 통보됩니다.
2025년 기준 중위소득 관련 자주 묻는 질문 (FAQ)
Q1. 기준 중위소득이 올라가면 생계급여 대상자가 줄어드나요?
👉 아니요! 중위소득이 상승하면 생계급여 기준도 함께 오르기 때문에 더 많은 사람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Q2. 생계급여와 의료급여를 동시에 받을 수 있나요?
👉 네! 생계급여 대상자는 자동으로 의료급여도 지원받습니다.
Q3. 기초생활수급자 신청하면 부양의무자(부모, 자녀)에게 영향이 가나요?
👉 2023년부터 부양의무자 기준이 대폭 완화되어, 부모·자녀 소득이 높아도 신청이 가능합니다.
결론 – 2025년 기초생활보장제도, 지금 확인하세요!
✅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이 인상됨에 따라 생계급여 및 의료급여 기준도 조정되었습니다.
✅ 소득 수준을 확인하여 기초생활보장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체크해 보세요!
✅ 신청 방법을 숙지하고 복지 혜택을 놓치지 마세요.
'복지이용하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긴급돌봄 지원사업: 지원 대상 및 신청 방법 총정리 (1) | 2025.04.03 |
---|---|
기초생활수급자 신청하려면? 2025년 소득 기준·지원금액 정리 (3) | 2025.04.01 |
사회적기업이란? 정부의 지원 정책, 기업 현황, 인증 제도, 성공 사례 (4) | 2025.04.01 |
스케일링(치석 제거), 국가 지원 받아 치아 건강 지키세요! (0) | 2025.03.28 |
보조금24에서 혜택 받기 – 정부24 완벽 가이드 (2) | 2025.03.2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