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난 글에 이어 작성해 봅니다. 집안에 갑작스러운 사건, 사고로 생계가 곤란한 상황에 처했을 때 정부에서 지원하고 있는 긴급복지지원제도의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적극적으로 알아보세요. 혹 받을 수 있는데도 신청하지 않아 기회를 날려버리고 있지나 않은지, 한 발 더 다가가 보세요.
긴급복지지원 대상 선정기준
긴급복지지원대상 선정기준은 국가형과 그 외 각 지자체에 따라 기준이 조금씩 다릅니다. 기본적으로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모두 기준중위소득 75% 이하이면 해당이 되고, 인천시민은 85% 이하, 경기도 도민은 90% 이하, 서울 시민은 100% 이하까지 해당됩니다. 다음은 소득기준과 재산기준, 금융재산 기준을 어떻게 나누고 있는지 알기 쉽게 표로 만들어 봤어요.
- 소득기준
(2023년 기준, 단위:원)
지역 | 기준중위소득% | 1인가구 | 2인가구 | 3인가구 | 4인가구 | 5인가구 | 6인가구 |
서울형 | 100% 이하 | 2,077,892 | 3,456,155 | 4,434,816 | 5,400,964 | 6,330,688 | 7,227,981 |
국가형 | 75% 이하 | 1,558,419 | 2,592,116 | 3,326,112 | 4,050,723 | 4,748,016 | 5,420,986 |
※ 참고로 지자체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있습니다.
- 재산기준(재산의 의미는 일반재산 + 금융재산 + 보험, 주택청약, 종합저축 - 부채)
(단위: 만원)
지 역 | 대 도시 | 중소 도시 | 농 어 촌 |
기준금액 (주거용재산 공제한도액 적용 시) |
24,100 (31,000) |
15,200 (19,400) |
13,000 (16,500) |
- 금융재산
(단위: 만원)
형 | 재산 기준 | 금융재산 기준 |
국가 형 | 2억4100 이하 | 600 이하 |
경기도 형 | 3억1000(군: 19400) 이하 | 1000 이하 |
서울 형 | 4억0900 이하 | 1000 이하 |
긴급복지지원 서비스 내용
(단위: 원)
지원항목 | 가구원 수 | 최대 횟수 | |||||
1인 | 2인 | 3인 | 4인 | 5인 | 6인 | ||
생계지원 | 623,300 | 1,036,800 | 1,330,400 | 1,620,200 | 1,899,200 | 2,168,300 | 6회 |
의료지원 | 가구원 수 관계 없이 최대 300만원 | 2회 | |||||
주거지원 | 398,900 | 662,500 | 874,100 | 12호 | |||
사회복지시설이용지원 | 552,000 | 941,700 | 1,218,400 | 1,494,100 | 1,770,800 | 2,047,400 | 6회 |
교육지원 | 초(127,900원), 중(180,000원), 고(214,000원, 수업료+입학금) | 2회 (주거비 4회) |
|||||
기타지원 | 연료비 110,000원, 해산비 700천원, 장제비 800천원, 전기요금500천원 이내 | 1회 (연료비 6회) |
※ 가구 구성원이 7인 이상인 경우, 1인 증가 할 때마다 생계비: 232,000원, 의료비: 102,300원, 복지시설: 278,000원씩 추가 지급합니다.
긴급복지지원 신청 방법
긴급복지지원 대상 사유에 해당된다면 위기상황에 처한 본인, 또한 위기상황에 처한 사람을 발견한 자라면 망설이지 마시고 다산콜센터(02-120), 보건복지상담센터(129)로 요청이나 제보를 한다면, 상담원은 지체 없이 시, 군 긴급복지 상담공무원에게 연계하여 일이 진행됩니다.
"남들이 나를 어떻게 볼까?" 하는 괜한 걱정과 두려움 따위 벗어던지고 손을 내미세요. 이 혜택으로 인해 어려운 시기를 극복할 수 있다면 본인이 경험해 보았기에 남다르게 어려움에 처한 사람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고 또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한 도움 등 사회에 기여함으로 좀 더 살기 좋은 나라가 되지 않을까 합니다.
'복지이용하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요양보호사, 유급휴일수당 받고 있나요? 경험담 (1) (1) | 2023.04.13 |
---|---|
독거노인 요양원 입소 과정, 잘못된 인식, 체험하기(2) (0) | 2023.04.13 |
독거노인과의 만남, 아니 이럴 수가! 요양원에 대한 잘못된 인식(1) (1) | 2023.04.13 |
위기상황, 긴급복지지원제도 내용 대상 (0) | 2023.04.07 |
내가 블로그 하는 이유, 동냥하는 할머니와의 만남 (0) | 2023.04.06 |